2018 군무원 도전/군무원 생활

2023년 성과상여금

전파통신 2023. 3. 1. 12:58
반응형

매년 2월이면 전년도 성과에 대한 성과상여금 심사를 하는데, 심사전에 참조할만한 관련자료를 제출하게 된다.

보안상점 또는 벌점 받은게 있는지, 필수교육 이수여부, 자격증 취득, 봉사활동 등 성과상여금 점수표에 착실히 기재해서 제출하면 성과상여금 심사에 반영이 된다.

 

심사후 2월말에서 3월초까지 심사결과를 개인적으로 (메일,문자,카톡 등)으로 알려주며 등급에 대한 상여금을 3월 말경에 지급을 해준다. ('23년은 3.30일 지급예정)

 

실제로 근무한 기간이 2개월미만인 사람은 지급제외자가 된다.

그래서 11.1 부로 임용된 신규임용 군무원은 12.31까지 휴가를 한 번이라도 사용하게 되면 다음해에 성과상여금 지급대상에서 제외가 되니 유의해야한다.

 

공무원이라는 조직에서 특정사업을 담당하지 않는 한 성과측정을 하기 어려운데다가, 더군다나 군이라는 조직에서 대체 무슨 성과를 심사하는지는 더더욱 모르겠다만, 어쨌든 올해도 성과상여금의 시즌이 도래 했다.

 

성과심사 대상은 직렬과 상관없이 부서 內 같은 직급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9급은 9급끼리 8급은 8급끼리 하는 식이다.

 

같은 부서안에서 평가대상자 수가 4명이 안되는 경우 다른 부서인원과 합해서 하는 식으로 최대한 4명을 만들어서 평가를 하게 된다. * 여기서 부서는 반 단위가 아닌 대대 단위임

 

등급은 S,A,B,C,D 로 등급이 정해지고, 등급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진다.

지급액 = 기준금액 * 등급에따른 % 

 

S등급은 기준금액의 147%

A등급은 기준금액의 129% 

B등급은 기준금액의 110%

C등급은 기준금액의 91%

D등급은 기준금액의 73%

이런식이다.

 

올해 기준금액은 아래와 같다.

8급인 사람이 B등급을 받았다면 기준금액 269만 900원 *  110% = 295만 9990원을  성과금으로 받게 된다.

 

그래서 3월의 경우 자신의 본봉 + 성과급까지 지급받게 되어 덩달아 건강보험료도 엄청 오른상태로 청구된다.

 

등급은 모두들 다 높게 받고 싶어하다보니 평가대상 인원에 따른 등급배분 규정이 세세하게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심사 평가대상자가 1명인경우 무조건 B등급을 부여 받게 된다.

심사 평가대상자가 2명인 경우 1명은 A , 1명은 C 를 받게 된다.

보통은 D등급은 잘 안나오는편인데, 

S를 받은 평가대상자 그룹에 속하게 되면 누군가는 D를 받아야 한다.

 

올해 나같은 경우 부서에 8급이 딱 2명만 있어서 A 아니면 C 였는데 저녁에 온 문자를 보니 대단히 만족스러웠다.

 

소속부대마다 심사결과 안내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보통 귀하의 성과등급은 [A]입니다.  라는 식으로 통보 받게 된다.

반응형